GSLB(Global Server/Service Load Balancing) 이란?
DNS와 동일하게 도메인 질의에 응답해주는 역할과 동시에 로드 밸런서(둘 혹은 셋 이상의 중앙처리장치 혹은 저장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처럼 등록된 도메인에 연결된 서비스가 정상적인지 헬스 체크(서버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서버의 상태가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서버를 서비스에서 제외하여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를 수행한다.
즉, 등록된 도메인에 대한 서비스가 정상인지 상태를 체크해 정상인 레코드에 대해서만 사용한다.
https://thebook.io/007046/ch07/03-01/
DNS 서비스의 발전된 형태.
DNS는 도메인 주소와 IP를 매핑하여 도메인으로 요청이 들어왔을 때, 타겟의 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비스이다.
하나의 도메인 주소에 대해서 여러 개의 IP 주소를 넘겨 줄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이용해서 가용성 구성과 로드 밸랜싱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DNS 뒤에 여러 IP를 붙여 고가용성과 로드 밸런싱 역할을 할 수 있긴 하겠지만 근본적으로는 한계.
그 이유는 DNS 의 로드 밸런싱은 IP 목록 중 하나를 반환할 뿐
네트워크 지연, 성능, 트래픽 유입, 서비스 실패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 것.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GSLB 라고 한다.
https://coding-start.tistory.com/339
728x90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Apr, Apr-Util (0) | 2023.08.28 |
---|---|
포팅(porting) 컨버팅(converting) 이란? (0) | 2022.08.19 |
페일오버(Failover)란? (0) | 2022.08.12 |